[보도자료] 2023 대한민국 청년정책 공모전 1차 팀 선정

2023 대한민국 청년정책 공모전,

1차 23개팀 선정


□ 국무조정실(실장 방문규)과 청년재단은 3월 1일부터 21일까지 실시한「2023 대한민국 청년정책 공모전」에 접수된 710여 건의 제안을 심사하여 본선(2차 심사)에 진출할 23개의 제안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ㅇ 국무조정실은 접수 마감 후 4월 3일까지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위원 등 청년, 중앙부처 정책 담당자, 외부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분야별로 우수 제안들을 선발하였다.(붙임 참조)


□ 이번 1차 심사에서 선정된 23개 팀에 대해서는 2차 심사에 대비한 과제 개선과 2차 심사 발표 준비를 위해 각각 50만 원의 연구과제비를 지원한다. 아울러 제안의 내용을 구체화하고 정책으로서 실현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2차 심사 전까지 전문가 특강과 멘토링을 진행할 계획이다.


ㅇ 우선 4.8(토) 전문가 특강을 통해 청년의 다양한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청년정보를 제공하고, 각 팀의 발표 준비에 도움이 되는 프레젠테이션 및 스피치 노하우에 대해서도 강의와 토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ㅇ 이후에는 각 팀의 제안 내용과 관련된 중앙부처 담당자를 멘토로 지정하고 자문을 진행할 예정이다. 각 부처의 담당자가 청년들의 제안서를 검토하고 실제 정책화에 도움이 되는 조언을 전달할 계획이며, 2차 심사를 위한 발표자료 검토‧보완 과정도 계속해서 지원한다.


ㅇ 아울러 이번 1차 심사에서 채택되지 않은 제안들에 대해서도 소관 부처가 정책화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안이 정책으로 채택되는 경우 소관 부처에서 포상을 실시하는 등 청년들의 정책 참여에 대한 다양한 인센티브 방안도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 23개 팀에 대한 2차 심사는 4월 22일에 진행되며, 발표 심사를 통해 약 10개 과제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후 5월에 개최될 최종 심사에서 최종 수상자 6개 팀이 결정되며, 최종 심사현장은 TV 프로그램을 통해 방영될 예정이다.


□ 송경원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실장은 “우수한 청년의 다양한 목소리가 실제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심사 과정에서 멘토링을 통해 적극 지원할 것이며, “이번 1차 심사에서 선정되지 못한 다양한 제안 중에서도 우수한 내용은 각 부처와 협의하여 청년정책의 밑거름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https://www.opm.go.kr/opm/news/press-release.do?mode=view&articleNo=153140&srSearchVal=청년&article.offset=0&articleLimit=10


|   문의   |   운영사무국 (평일 10:00 ~ 18:00)
TEL. 070-4736-8811
MAIL. korea@2023youthpolicy.com

Copyright ⓒ 2023청년정책공모전 All rights reserved.



|   문의   |   운영사무국  MAIL. korea@2023youthpolicy.com

Copyright ⓒ 2023청년정책공모전 All rights reserved.